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k8 드라이브 와이즈 단점

by aumbst 2025. 5. 26.

K8 드라이브 와이즈는 분명 첨단 기능을 품고 있다.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고속도로 주행 보조(HDA), 전방 충돌방지 보조 같은 기능이 꽤 탄탄하게 들어가 있어서, 장거리 고속도로 위에서 운전할 땐 확실히 도움이 되긴 했다. 하지만 막상 실생활에서 계속 쓰다 보면 “이걸 굳이 돈 주고 넣었어야 했나?” 싶은 아쉬움이 따라붙는다. 특히 옵션 구성 방식이 워낙 얽히고설켜 있어서 단순히 하나의 기능이 탐나더라도 여러 가지를 같이 껴안아야 하는 구조가 불편함을 키운다.

 

1.옵션질의 진수, 묶음 선택의 덫

드라이브 와이즈는 따로 떼어 팔지 않는다. 단독으로는 절대 선택 불가. 예를 들어,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하나만 쓰고 싶어도 네비게이션, HUD, 후측방 모니터 등 안 써도 그만인 옵션까지 전부 세트로 선택해야 한다. 이른바 ‘옵션질’이라는 말이 괜히 나오는 게 아니다. 결국 100~200만 원 이상 비용이 훌쩍 추가되는데, 이 중 자주 쓰는 기능은 절반도 안 되는 경우가 많다. 실질적으로 소비자 선택권이 제한된다는 게 가장 큰 단점이다.

 

2.전자장비, 안 쓰면 무용지물이다

운전이 익숙한 사람이라면 자동화 기능을 환영하겠지만, 중장년층이나 부모님 세대는 이 기능들 거의 쓰지 않는다. 직접 주행보조 버튼을 눌러야 작동하는 구조인데, 버튼 위치도 직관적이지 않고 설명도 부족하다. ‘키면 좋은 줄 알았는데 불편해서 그냥 끄고 다닌다’는 반응이 많다. 기능이 좋다 해도, 안 쓰는 순간 그건 단순한 장식일 뿐이다. 그리고 고도화된 자율 주행에 비하면 아직 ‘보조’ 수준이라는 한계도 분명하다.

 

3.패키지 안 넣으면 나중에 손 많이 간다

드라이브 와이즈 안 넣고 차량을 출고하면, 나중에 마음이 바뀌었을 때 참 애매하다. 순정 부품을 사서 따로 설치하거나, 기능을 활성화하려면 상당한 비용이 들고 절차도 복잡하다. 정식 서비스센터에서도 잘 해주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어서, 사설 업체를 찾게 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도 완벽한 복원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불안하다.

 

4.결국 가성비는 글쎄다

옵션 가격을 포함한 차량 총금액을 놓고 보면, 드라이브 와이즈를 포함한 모델이 경쟁 모델보다 가격이 확 뛰어버린다. 특히 그랜저나 쏘나타 풀옵션과 비교했을 때, 가격 대비 성능이 과연 납득 가능한 수준인지 고개가 갸우뚱해진다. 실제로 운전자들 사이에서도 “이 돈 주고 안 써도 되는 기능까지 다 사야 하냐”는 반응이 많았다. 쓰는 사람 입장에선 아쉬움이 큰 대목이다.

 

관련 정보

k8 전자제어 서스펜션 체감 차이

k8 아래 바람 냄새 해결 방법